목록분류 전체보기 (45)
공대생 공부노트
1945년에 미국이 일본에서 보여준 핵무기의 위력을 실로 엄청났다. 그러다보니 핵폭탄을 개발하고 투하한 미국은 물론이며 전후 미국과 체제경쟁에 들어간 소련 역시 핵폭탄을 투하할 수 있는 대륙간 폭격기를 개발하고자 했다. 마침 소련 역시 미국에 이어 핵실험에 성공하면서 핵폭탄을 보유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련의 사정은 미국처럼 좋지 못했다. 대서양과 태평양으로 본토를 보호 받아온 미국과 달리 소련은 독일과 전선을 마주하며 연합국 중 가장 많은 사상자를 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많은 생산 시설 역시 초토화되었으며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소련에 무기를 판매하여 경제적으로도 풍족했던 미국과 달리 소련은 영국이나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전후 복구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미 본토를 타격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소련이 야심 차게 개발한 쌍발 제트 폭격기 Tupolev Tu-16 Badger는 1953년부터 Tu-4 Bull 폭격기를 대체한다. 소련 입장에서는 미국의 B-29를 역설계하여 제작한 Tu-4보다 더 발전되었으며 독자적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자부심을 가졌다. 그러나 Tu-16은 항속거리가 대략 7,000 km에 불과하여 미 본토를 효과적으로 타격하기에는 부족했다. 특히나 소련은 미국과 달리 미 본토 주변으로 친소 국가가 없었으므로 폭격기는 반드시 소련 본토에서 이륙하여 소련 본토에 착륙해야만 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소련 폭격 후 터키, 파키스탄이나 일본과 같은 친서방 국가에 이륙할 수 있었던 미국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소련 역시 1940년대 말 1950년대 초부터 공중 급유 기술을 ..

M-4-2 공중 급유기는 미국을 충격에 빠트린 M-4 폭격기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M-4 폭격기는 1955년 5월 1일, 소련의 노동절에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어 서방을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당시 미국은 소련이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대륙간 폭격기를 개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런 폭격기를 60대나 공개하면서 언론은 황급히 미국과 소련 사이에 엄청난 폭격기 격차(bomber gap)가 생겼다는 내용을 전달했다. 나중에 밝혀진 사실이지만 소련은 10대의 폭격기를 6번 원형 비행하게 하여 60대처럼 보이게 만든 것이었으며 M-4 폭격기의 항속거리가 당초 설계한 것보다 부족하여 미 본토를 폭격하기에는 부족했다. 이런 사실은 소련이 그 누구보다 먼저 알고 있었으므로 ..

오늘날 러시아(구소련)는 1960년대 후반에 개발에 착수하여 1970년대부터 사용해 온 Il-76 수송기를 개조하여 공중 급유기로 사용하고 있다. Il-78 미다스(Midas)는 Il-76 수송기를 공중 급유 임무에 특화하도록 개조한 공중 급유기로서 소련에게는 처음으로 폭격기가 아닌 수송기를 기반으로 제작된 공중 급유기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960년대 후반부터 Tu-22M 그리고 1980년대부터 Tu-160과 같은 초음속 대형 항공기가 등장함에 따라 이들을 공중 급유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공중 급유기에 대한 소요가 제기되었다. 이에 1968년에 Il-76MD 수송기를 기반으로 하는 Il-78 공중 급유기가 탄생했다. Il-78은 Il-76MD 수송기에 장탈이 가능한 2개의 연료 탱크를 추가하고, 양..

그리고 파키스탄을 통해 미국은 무장 게릴라 조직은 무자헤딘이 붉은 군대와 싸울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해주었다. 그러나 무자헤딘은 정권을 잡은 뒤에도 극심한 내분으로 결국 1996년에 탈레반에 의해 수도를 빼앗긴다. 탈레반은 1994년 아프간 칸다하르에서 결성된 이슬람 수니파 무장 정치조직이다. 이들의 목표는 이슬람 이상국가 건설이다. 처음에는 부정부패를 없애는데 힘을 쏟으며 일상적인 상업활동은 그대로 두어 아프간 가문의 지지를 얻었다. 그 결과 1995년 아프간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나지불라 전 아프간 대통령 형제를 공개처형했다. 1996년부터 미군이 침공한 2001년까지 약 5년간 무자헤딘으로부터 빼앗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했다. 탈레반은 엄격한 이슬람 율법 통치와 인권 침해로 국제 사회로부터 많은 비판..

캐시미어는 인도 서북부의 카슈미르 지방에서 나는 산양의 털로 짠 고급 모직물이다. 부드럽고 윤기가 있으며, 보온성이 좋아 고급 양복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정작 카슈미르 지역만큼은 전혀 부드럽지 않다. 카슈미르 지역은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종교 지도자의 통치를 받아왔다. 14세기 이후에는 이슬람 세력이 카슈미르 지역을 침략하면서 주민들 대다수를 강제로 이슬람교로 개종시켰다. 이후에도 무굴 제국과 아프간의 지배를 받아오다가 1819년에 힌두교와 이슬람교 사이에서 탄생한 시크교도 란지트 싱이 아프간 군을 물리치고 카슈미르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 그러나 1846년 제1차 영국-시크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하면서 시크교도들의 카슈미르 지배는 막을 내린다. 이후 동인도 회사의 지배 하에 들어가게 된 카슈미르는 동인..

열역학에서 보면 매우 간단한 식인데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한 번 이해하면 그때 어떻게 이해했는지, 논리를 전개했는지 정리해두는 편이 바람직하다. $$\Delta U = \Delta Q - \Delta W$$ 위 식은 '계(system)의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계에 가해진 열량'에서 '계가 외부에 한 일'로 표현할 수 있다는 말이다. 즉, 계가 가진 에너지는 계가 외부로부터 받은 열만큼 더해지고, 계가 외부로부터 한 일만큼 덜어진다는 뜻이다. 자주 헷갈리는 이유는 '일을 해줬는데 왜 부호가 마이너스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방향이 잘못된 것이다. 일을 더해주는 것이 아니라 일을 외부로 하는 것이다. 참고로 위 식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유도된다. $$E=mgh+\frac..

영화 속 악당들을 흔히 빌런이라 부른다. 그리고 영어 빌런 'Villain'의 어원은 '비열한 놈'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Vilain'에서 온 것이다. 그런데 프랑스어 사전에서 'Vilain'을 찾아보면 '추잡한'이라는 뜻과 함께 중세의 자유농민, 평민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유는 중세시대 농민들의 삶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세시대 농민들은 귀족들의 횡포로 기아와 가난에 허덕였고 결국 힘든 삶 속에서 도둑질과 범죄를 일삼기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도둑질과 범죄를 일삼는 농민들이 곧 악당이자 추잡한 놈이 된 것이다. 출처 한솥마을, 빌런(Villain)의 뜻과 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