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공/열역학 (3)
공대생 공부노트

열역학에서 보면 매우 간단한 식인데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한 번 이해하면 그때 어떻게 이해했는지, 논리를 전개했는지 정리해두는 편이 바람직하다. $$\Delta U = \Delta Q - \Delta W$$ 위 식은 '계(system)의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계에 가해진 열량'에서 '계가 외부에 한 일'로 표현할 수 있다는 말이다. 즉, 계가 가진 에너지는 계가 외부로부터 받은 열만큼 더해지고, 계가 외부로부터 한 일만큼 덜어진다는 뜻이다. 자주 헷갈리는 이유는 '일을 해줬는데 왜 부호가 마이너스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방향이 잘못된 것이다. 일을 더해주는 것이 아니라 일을 외부로 하는 것이다. 참고로 위 식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유도된다. $$E=mgh+\frac..

해당 글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자료나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물론, 최대한 정확한 내용만을 올리도록 노력하겠지만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구체적인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정적비열 (specific heat at constant volume) [kcal/kg·℃] : 기체 1kg를 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온도 1℃만큼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네이버 용어해설 '정적비열'] 정적비열을 유도하는 것은 정압비열보다 간결하다. 우선, 에너지 평형으로 시작하고 이때 정적비열이므로 부피의 변화량이 0인점을 적용하면 식은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그다음 열량 공식을 위에서 정리한 식과 비슷한 꼴로 맞춰준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정리한 에너지 평형식과 열량 식..

해당 글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자료를 모아 정리하거나 제가 직접 유도한 것입니다. 물론, 저도 최대한 정확한 내용만을 올리도록 노력하겠지만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구체적인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정압비열 (specific heat at constant pressure) [kcal/kg·℃] : 일정한 압력 하에서 중량 1kg의 기체 온도를 1K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네이버 자동차 용어사전 '정압비열'] 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닫힌계에서의 에너지 평형(energy balance for closed system)과 엔탈피(enthalpy) 그리고 열량(heat)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에너지 평형은 열역학 제1법칙이라고도 하며 각각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