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양 (13)
공대생 공부노트

영화 속 악당들을 흔히 빌런이라 부른다. 그리고 영어 빌런 'Villain'의 어원은 '비열한 놈'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Vilain'에서 온 것이다. 그런데 프랑스어 사전에서 'Vilain'을 찾아보면 '추잡한'이라는 뜻과 함께 중세의 자유농민, 평민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유는 중세시대 농민들의 삶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세시대 농민들은 귀족들의 횡포로 기아와 가난에 허덕였고 결국 힘든 삶 속에서 도둑질과 범죄를 일삼기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도둑질과 범죄를 일삼는 농민들이 곧 악당이자 추잡한 놈이 된 것이다. 출처 한솥마을, 빌런(Villain)의 뜻과 어원
생선회를 구매할 때 '싯가'라는 단어를 자주 듣는다. 이때 싯가는 '시가'라는 표준어에서 나온 단어이다. 생선은 자연산 생선이 그날 얼마나 잡히느냐, 제철이냐에 따라 가격이 큰 폭으로 달라진다. 그러다 보니 판매자는 소비자들에게 일정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그날 책정된 가격이라는 다른 제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시스템이 존재하는 것이다. 즉, '시가'는 '그날 책정된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1 우리가 잘못된 길에 빠지는 것은 뭔가를 몰라서가 아니라 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 마크 트웨인 - "It ain't what you don't know that gets you in trouble. It's what you know for sure that just ain't so." #2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 할 때, 우리 혹은 타인의 삶에 어떤 기적이 나타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 헬렌 켈러 - "When we do the best that we can, we never know what miracle is wrought in our life, in the life of another." #3 허물이 있다면 버리기를 두려워 말라 - 공자 - 過則勿憚改 [과즉물탄개] #4 오래 살기를..

저녁 먹을 때가 다가올 무렵 한 친구가 USB의 약자가 뭐냐고 친구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일단 왜인지는 모르지만 Universal 이라는 단어는 들어갈 것 같고 나머지 약자들도 얼추 맞출 순 있었으나 정말 오랜만에 '생각해보니 그게 약자였나'라는 생각이 들어 신선하고 좋았다. 하지만, 그 친구는USB 약자가 Uh(어!?)-Ssibal(씨발)-Bandaenae(반대네)라고 말해주었고 나는 그 약자에 더 크게 공감했다. 그럼 이젠 USB가 무엇의 줄임말인지 제대로 알아보자. 답부터 말하자면 이동식 기억 저장장치 USB는 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의 약자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USB는 정확히 말하자면 USB Type-A이다. 좀 더 자세히 들어가자면 USB Type-A는 ..

해외 논문을 작성하고 이를 게재하려는 친구가 '홍', '길', '동'을 하나하나 띄어쓰는 바람에 '길'이 middle name으로 인식되어 claim이 들어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런데 서양문화권 사람들은 왜 middle name을 쓰는걸까? 인터넷에 조금만 검색해보아도 또 우리가 아는 영화 속 인물들도 'Tony Stark' 이런식으로 성과 이름만 부르는데 말이다. 그 전에 내가 해외 사이트에 가입할 때마다 헷갈리는 'First name'과 'Last name'부터 정리하자. 외우는 법은 간단하다. 우리 이름을 외국에서는 "길동 홍"이라 부른다. 그럼 이 순서대로 가면 된다. 길동이 앞에 있으니 first name, 홍이 마지막에 있으니 last name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first..

공부는 미리미리 해두는 게 제일 좋다. 그러나 살다보면 노는 게 우선이 될 때가 있고 또 피치 못할 사정으로 제 때 잠자리에 들지 못할 때가 있다. 그때마다 우리는 "오늘도 밤샘각이네"라고 한다. 근데 밤은 새우는걸까 세우는걸까 센걸까? 새다 동사 : 기체, 액체 따위가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가거나 나오다. 예문 : 이야기가 옆길로 새다. 빛이 방안에서 새어 나왔다. 동사 : 날이 밝아 오다. 예문 : 어느덧 날이 새는지 창문이 뿌옇게 밝아 온다. 새우다 동사 : 한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 예문 : 밤을 새워 공부하다. 파생 : 밤새다 (또는 밤새도록) 예문 : 밤새도록 울다가 누가 죽었느냐고 한다. 파생 : 밤샘 = 잠을 자지 않고 밤을 보냄. 철야와 같은 의미이다. 예문 : 빈번한 밤..

더운 여름 국수나무에서 냉모밀과 초계국수를 시킨 게 시작이었다. 겨자 소스를 한 바퀴 두르는 친구와 냉모밀의 와사비를 푸는 나는 문득 겨자와 와사비 뭐가 다르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둘 다 알싸한 매운맛이잖아. 우선 고추냉이와 와사비부터 정리해야 한다. 정답부터 말하자면 와사비와 고추냉이는 엄연히 다른 식물이다. 와사비는 일본과 울릉도에 서식하는 넓은 달갈형 잎을 가진 식물이다. 고추냉이는 강원도와 평안남도에 서식하는 얇은 타원형의 톱니잎을 가진 식물이다. 이름도 와사비는 Wasabia japonica 이고 고추냉이는 Wasabia Koreana 이다. 문제는 국립국어원에서 한국어 순화라는 명목으로 와사비를 고추냉이라 부르기로 정해버린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고추냉이는 '참고추냉이'라 부르기로 한다. 당연..

과학을 공부할 때 중요한 것이 '용어'이다. 예를 들어 저는 질량(kg)과 중량(kgf)은 엄연히 다른데 이를 잘 구분하지 않고 살다가 대학교에서 와서 파운드를 접하게 되면서 파운드포스(lbf)와 파운드(lb)를 접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물론 이공계 대학생이라면 용액, 용매, 용질이 무엇인지는 다 아시겠지만 영어로는 무엇인지도 잘 알아둬야죠. 1) 용해 : dissolution 한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고르게 섞이는 현상이다. 용해된 물질은 시간이 지나도 섞인 것이 가라앉거나 한곳으로 몰리지 않는다. (예 : 설탕물은 시간이 지나도 설탕이 물과 분리되어 가라앉지 않는다.) 2) 용매 : Solvent or dissolvent 어떤 액체에 물질을 녹여서 용액을 만들 때 그 액체를 가리키는 말이다..